1.1 목적
이 기준은 「KAIST 연구·실험 안전관리지침」 제30조에 따라 실험실의 소방 시설, 기술 및 점검 기준에 대하여 연구활동종사자의 이해를 돕고 적용하기 위함이다.
Fire Safety Manual in the Laboratory
이 기준은 「KAIST 연구·실험 안전관리지침」 제30조에 따라 실험실의 소방 시설, 기술 및 점검 기준에 대하여 연구활동종사자의 이해를 돕고 적용하기 위함이다.
이 기준의 적용범위는 KAIST내 모든 연구실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기준의 적용범위는 KAIST내 모든 연구실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기준에 따른 시설 및 기술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실험실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구분 | 감지기의 종류 |
---|---|
실험실 화재위험등급 Class D |
열감지기(차동식) 열감지기(차동식 분포형) 연기감지기(광전식 스포트형) |
실험실 화재위험등급 Class A, Class B, Class C |
연기감지기(광전식) 아날로그방식 연기감지기(추가설치) |
KAIST 실험실을 화재위험등급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구분한다.
Class A | Class B | Class C | Class D |
---|---|---|---|
High fire hazard | Moderate fire hazard | Low fire hazard | Minimal fire hazard |
진단 항목 |
관리기준 | 판단기준 | 관리실태 | |||
---|---|---|---|---|---|---|
양호 | 미흡 | 심각 | 미해당 | |||
소화설비 | 1) 실험실 내부에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는가? |
(양호) 비치 바닥면적 33㎡이상인 실험실에는 1개 이상의 소화기를 비치 (미흡) 미비치 또는 수량 부족 (관련근거)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101 |
||||
2) 소화기 설치 위치표지판은 부착되어 있는가? |
(양호) 부착 바닥에서 1.5m이하 부착 (장애물이 없는 경우) (미흡) 미부착 또는 부적절한 위치 (관련근거)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101) |
|||||
3) 금속류(칼륨, 나트륨 등)를 사용하는 연구실주변에 적응성이 있는 D급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는가? |
(양호) 비치 D급 소화기 1개 이상 비치 (심각) 미비치 (관련근거) 권장사항 |
|||||
4) 고온발생장치(퍼니스, 오븐 등), 가스 등을 사용하는 실험실에 자동확산소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는가? |
(양호) 설치 방호면적을 유효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설치 (심각) 미설치 (관련근거) 권장사항 |
|||||
경보설비 | 1) 감지기는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위치는 적합한가? |
(양호) 설치 방호면적을 유효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설치 (심각) 미설치 (미흡) 설치 위치 부적절 (관련근거) 자동화재탐지 설비의 화재안전 기준 제10조 |
||||
2) 발신기 위치표시등의 식별상태는 적합한가? |
(양호) 기준 충족 부착면으로부터 15° 이상의 범위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m 이내의 어느곳에서도 쉽게 식별 (미흡) 기준 부적합 (관련근거)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제9조 |
|||||
3) 시각경보장치의 설치상태는 양호한가? |
(양호) 기준 충족 바닥으로부터 2m 이상 2.5m 이하 장소에 설치 (미흡) 기준 부적합 (관련근거)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제8조 |
|||||
피난설비 | 1)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설치위치는 적합한가? |
(양호) 설치기준 충족 피난구의 윗부분,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및 그 부속실 등에 설치 (미흡) 기준 부적합 (관련근거)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제5조부터 제9조 |
||||
2) 비상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는가? |
(양호) 설치 각 실험실에서 지상에 이르는 복도, 계단, 통로에 설치 (미흡) 미설치 (관련근거) 비상조명등의 화재안전기준 제4조 |
|||||
3) 피난유도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있는가? |
(양호) 설치 피난계획 수립 시 피난 경로, 피난 유도등을 보기 쉬운 곳에 제공 (미흡) 미설치 (관련근거)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4조의 5 |
|||||
기타 | 1) 기타 소방안전 설치분야에서 부적합한 사항이 있는가? |
(양호) 설치기준양호 (미흡) 설치기준 일부 미흡 (심각) 즉시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 |
진단 항목 |
관리기준 | 판단기준 | 관리실태 | |||
---|---|---|---|---|---|---|
양호 | 미흡 | 심각 | 미해당 | |||
소화설비 | 1) 실험실 내부에 설치된 소화기 본체 용기 외관 상태는 양호한가? |
(양호) 외관상태 양호 소화기 본체용기 및 누름쇠, 레버등의 조작장치 등이 변형·손상·현저한 부식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함 (미흡) 기준 부적합 |
||||
2) 소화기 지시압력계는 적정한가? |
(양호) 압력 적정 소화기의 지시압력계가 적정압력 유지 (심각) 기준 부적합 |
|||||
3) 소화기의 안전핀의 봉인상태는 양호한가? |
(양호) 봉인상태 양호 안전핀의 봉인이 탈락되지 않음 (미흡) 기준 부적합 |
|||||
4) 소화전의 내부 및 주변에 장애물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가? |
(양호) 장애물 미적재 소화전 내부 및 주변에 장애물이 없어 화재 시 즉시 사용가능한 상태 유지 (미흡) 기준 부적합 |
|||||
5) 소화전 호스의 보관상태, 위치표시등의 점등상태가 양호한가? |
(양호) 점등상태 양호 호스 및 노즐, 개폐밸브, 위치표시등 등의 손상, 현저한 부식 등이 없고 결합이 쉬운지 확인 (미흡) 기준 부적합 |
|||||
6) 소화전의 표시 및 사용요령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는가? |
(양호) 표지판 부착 소화전 표지판 및 사용요령이 한글 및 영문으로 표시 (미흡) 기준 부적합 |
|||||
7) 스프링클러 헤드 외형 상태는 양호한가? |
(양호) 외형상태 양호 외형이 새거나 변형·손상 등이 있는가의 여부 (미흡) 기준 부적합 |
|||||
8) 스크링클러 헤드의 살수분포구역에 방해물이 설치되어 있는가? |
(양호) 살수분포구역 확보 살수가 방해되지 않도록 헤드로부터 반경 60cm이상의 공간을 보유할 것 (벽체로부터 10cm이상 (미흡) 기준 부적합 |
|||||
경보설비 | 1) 감지기의 관리상태는 양호한가? |
(양호) 관리상태 양호 감지기 소손, 이탈 등이 되지 않도록 관리 (미흡) 기준 부적합 |
||||
피난설비 | 1) 출입구 및 복도통로에 적재물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가? |
(양호) 비상통로 확보 비상시 신속한 피난을 위한 통로 확보(너비 1.5m 이상) (미흡) 기준 부적합 |
||||
2) 완강기 관리는 적절한가? |
(양호) 즉시 사용가능 상태 완강기 등 피난기구의 보관 및 작동상태 및 주변 장애물 확인 (미흡) 기준 부적합 |
|||||
3) 유도등의 점등여부 및 장애가 되는 게시물은 없는가? |
(양호) 점등 양호, 장애물 없음 정상적인 점등상태 여부 및 장애물 방치 여부 확인 (미흡) 기준 부적합 |
|||||
4) 비상조명등의 사용전원 차단 시 점등상태는 양호한가? |
(양호) 점등 양호 비상전원이 내장되어 점등여부 확인 (미흡) 기준 부적합 |
|||||
소화활동설비 | 1)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 주변에 장애물은 없는가? |
(양호) 장애물 없음 방화구획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장애물 적재 금지 (미흡) 기준 부적합 |
||||
기타 | 1) 기타 소방안전 운영/관리분야에서 부적합한 사항이 있는가? |
(양호) 운영기준 양호 (미흡) 운영기준 일부 미흡 (심각) 즉시개선이 요구되는 사항 |
적용대상 소화약제구분 |
가스 | 분말 | 액체 | 기타 | |||||||||
---|---|---|---|---|---|---|---|---|---|---|---|---|---|
이산화탄소소화약제 | 할로겐화물소화약제 | 청정소화약제 | 인산염류소화약제 | 중탄산염류소화약제 | 산알칼리소화약제 | 강화액소화약제 | 포소화약제 | 물·침윤소화약제 | 고체에어로졸화합물 | 마른모래 | 팽창질석·팽창진주암 | 그 밖의 것 | |
일반화재 (A급화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류화재 (B급화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기화재 (C급화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 고
1. NFPA 45 Standard on Fire Protection for Laboratories Using Chemicals
2. CFPA-E No 28 Fire Safety in Laboratories
3. 화재안전기준 National Fire Safety Codes
4. KPFA, 화재안전점검 매뉴얼, 2011
5. FIre Safety Handbook for Faculty, Staff and Teaching Assistants(NYU)
6. KAIST, 실험실 안전 지침서, 2005
7. KAIST, 연구실 안전관리 핸드북, 2010
8. 교육부, 대학 실험·실습실 안전환경 구축 및 운영 가이드, 2016